728x90

케피의 1st 정보/밀리터리 42

6.25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의 T-34 전차를 국군이 격파하는 방법들

6.25 전쟁 초기 당시 국군은 북한군의 212대의 T-34/85 전차에 맞설 전차가 없었고 그렇다고 충분한 대전차 화기를 보유한것도 아니였다. 그러면 당시 국군은 몰려오는 T-34 전차를 무슨수로 격파했을까? 1. 구형 바주카포를 이용 한국전쟁이 발발하기전 미국은 한국에게 대전차 화기로 구형 바주카포를 지급하였다. 하지만 M9 바주카포로 북한군의 T-34/85 전차를 격파하기는 어려웠으나, 2차세계대전 당시에 일부 미군들은 M9 바주카포를 이용하여 T-34 전차 보다 훨씬 강력한 독일군의 타이거 전차와 판터 전차를 격파한 사례가 여러번 있었기에 국군도 몰려오는 북한군의 T-34/85 전차를 M9 바주카포를 이용해 힘들겠지만 격파는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훈련부족과 탄약과 무기의 노후화로 인해서 큰 빛을..

찐따 특징 알아보기

오늘은 찐따 특징에 관해서 글을쓸 차례이다. 뒤에 따가붙는 단어는 사실상 필자가 듣기싫어하지만 자기 주제도 모르면서 남보고 찐따니 은따니 뭐니하는 녀석들은 꼭 한번 보기를 바란다. 그리고 학교생활 편하게 하면 여기있는 특징들을 최대한 피하는게 좋을것이다. 1. 급식시간에 같이 밥먹을 사람 구하느라 고생한다. 2. 같이 밥먹을 사람이 없으면 당당하게 먹지못하고, 남들이 자기가 친구가 없다고 생각할까봐 굶는다. 3. 친구랑 같이 밥먹을때, 먼저 먹고 갈까봐 허겁지겁 먹는다. 4. 쓸데없이 남눈치를 자주 본다. 5. 급식시간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6. 점심시간에 식사를 마친뒤 혼자 있으려면 불안하다. 7. 집이 가난하다. 8. 평균지능이 대체적으로 낮다. 9. 말이 쓸데없이 많다. 10. 교실에 있을..

총의 종류 그리고 각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기

1. 권총 권총은 게임에서도 알수있듯이 주로 사용하는 무기가아니라 보조무기이다. 그래서 소총같은 주무기에 비해서 장탄수나 화력 그리고 사거리등 모든면에서 뒤쳐진다. 그 이유는 권총의 짧은 길이에있는데, 총의 길이가 길수록 강선이 길기때문에 사거리와 명중률이 올라간다. 하지만 권총도 나름의 장점이 있는데, 우선 무게가 소총에비해서 매우 가벼워서 휴대하기가 굉장히 편할뿐만아니라 적을 암살하기에도 효율적이다. 만약 권총을 전쟁에서 사용한다면 어떻게될까? 아마도 적을 한발도 맞추지 못할것이다. 현대전에서 보병간의 전투거리는 대개 300m가 넘어가는데 대개 권총의 사거리는 80미터를 넘어가지 못하고 유효사거리를 벗어나면 정확도가 개판되기때문에 아무리 적을 잘 조준하고 사격하더라도 단 한발도 맞추지 못한다. 하지만..

독소전쟁 당시 소련군 전술

1. 제파전술 2차세계대전뿐만 아니라 역사상 정말 단순하고 무식했던 소련군은 압도적인 병력수라는 장점을 이용해 제파전술이라는 하나의 인해전술과 비슷한 전법을 사용했다. 방법은 굉장히 간단한데, 일단 10만명이있다고 가정하면 10만명을 한번에 돌격시키는게 아니라, 1만명씩 10부대로 나눠서 1부대가 전멸하면 다음부대가 바로바로 투입되는 방식으로 독일군들에게 마치 소련군이 끝없이 몰려오는것처럼 보이게하는 심리전 효과가있다. 사실상, 병력을 나눈다음에 무식하게 돌격시키는건 인해전술과 다를바가없으므로, 2차세계대전중에서 가장 사상자가 많은 나라가 소련이 되는게 이상할게없다. 2. 포병전술 공산권 국가에서도 자주쓰이는 전술이다. 굉장히 듣고보면 간단한 전술인데, 일단 로켓발사기나 야포 그리고 항공기등을 총동원해서..

나치독일의 마지막보루 국민돌격대에 대해서 알아보자!

때는 1944년 10월, 나치독일에게는 최악의 시기였지, 동쪽에서 몰려오는 소련군도 막기힘든데 왼쪽에서는 미군과 영국군까지 몰려오고, 이들을 막을 젊은 남자들은 부족해지고... 그래서 히틀러는 최후의 카드를 꺼내지.. 그것이 무엇이냐면 총을들수있으면 되지 나이가 뭔상관이냐면서 장애인이든 늙은이든 거지든 가리지않고 총만들수있는 현역으로쓰기에는 많이 덜떨어진 사람들을 긁어모아 국민돌격대라는걸 조직하는거야. 향토예비군, 예비군, 공익, 보충역같은놈들은 이미벌써 전쟁터에서 정규군으로 끌려갔기떄문에 이들보다 덜떨어진 자들로 구성된 국민돌격대의 신체적능력은 사실상 굉장히 나쁘다고 봐야지.. 위에있는 국민돌격대원들의 복장을 보면알겠지만 무기만 압수한다면 민간인인지 농민봉기군인지 구분이가지않아.. 군복마저 부족한 나치..

세계의 전투식량 살펴보기!

1. MRE (미군 전투식량) 미군 전투식량은 다른나라것들보다 맛없기로 유명하지요. 먼저 위사진을 살펴보시면 자일리톨2개와 M&M초콜릿 그리고 커피와 식빵과 다진고기 그리고 닭고기요리가 보이네요. 2. 북한 네, 정말 볼거없네요. 병사들 총알지급해주기도 어려울형편에 반찬만들 시간이 어디있습니까. 아무리 즉석쌀밥이라고 해도 그렇지, 맛은 정말 형편없을거같습니다. 3. 러시아 러시아의 전통 음식인 카샤 그리고 비계로이루어진 통조림들과 정체를 알수없는 가루들과 초콜릿 그리고 비스킷과 라면사리로 이루어져있네요. 별로 맛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4. 중국 여러개의 딤썸과 초콜릿빵같은 전체를 알 수없는 음식 그리고 단무지인가 파인애플인가 다음에 볶음밥같은걸로 이루어져있는데 딱히 맛있어보이지는 않네요. 5. 프랑스 ..

북한 무기 알아보기 - 개인화기

오늘은 북한의 육군 해군 공군중에서 가장 강력한 육군의 개인화기 및 분대지원화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 것이다. 현재 이들은 어떠한 개인화기들을 가지고있으며, 성능은 어느정도이며 통일이 이루어지면 그중 몇가지를 대한민국군이 가져다가 사용할수있을까? 1. 58식 보총 흔히 말하는 소련의 AK-47의 원본을 복제한 소총이다. 다들 알다시피 아프리카 흑인 거지동네에서 자주 돌아다니는 그녀석과 성능이 거의 똑같고, AK시리즈 답게 내구성이 더럽게 좋다. 하지만 유효사거리가 300m밖에 되지않고, 반동과 명중률 그리고 연사력이 현대의 소총에 밀리나 적어도 제대로 조준하고 쏘면 문제없이 잘맞고 아프다. 그러나 이 많은 소총을 유지할 비용자체가 부족한 북한입장으로썬 노후화된 58식 보총을 제대로 관리를 ..

미군 급식 살펴보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미국, 그들은 과연 무슨 음식을 먹길래 지난세기동안 군사력1위라는 영광스러운 타이틀을 유지하고있을까? 다같이 살펴보자! 일단 미군들이 어떤식으로 급식을 먹느냐에따라 3가지로 나눌수있는데, 첫번째는 위에사진에서 볼수있는것처럼 우리가 학교에서 급식받듯이 받아서 먹는 방식과 뷔페식 그리고 야외나 훈련시에먹는 전투식량으로 구분할수있습니다. 위방식과 뷔페식의경우 퀄리티가 나름좋고 맛도 괜찮지만, 비상시에 먹는 전투식량은 정말 맛이 없다고합니다. 그리고 가끔 크리스마스나 추수감사절때 집에갈수없는 장병들을 위해서 칠면조같은 특식을 제공해주기도합니다. 가끔 장교들이 병사들보고 수고했다면서 배식을하기도 하지요. 가끔 이렇게 동맹국인 아프가니스탄군들과 함께 급식을 먹기도하는데 표정이 정말 안좋아..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무기

1. 38식 소총 38식은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주력소총이였다. 무게는 3.3kg 정도로 한국의 k2소총과 비슷하다. 반동도 준수한편이고 정확도 또한 나름 괜찮으나 대인저지력이 약하다는 단점이있다. 그리고 소총의 길이가 길어서 창검만 해주면 창과같은 용도로 사용할수있을만큼 백병전에서는 나름 쓸만했다. 그러나 기후에따라 내구도에 문제가 생기기쉽고, 탄걸림이 자주 발생하고 길이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해서 그다지 좋은무기라고 보기는 어렵다. 태평양전쟁이 끝난후 일부는 조선인민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초기무장으로 사용되었다. 2. 44식 기병총 앞서 설명한 38식 소총을 기병대가 사용할수있게 길이를 짧게한것이다. 특이하게도 총검을 접었다가 펼수있다. 총의 길이가 짧아져서 무게와 휴대성은 대폭 상승했으나, 강선의..

임진왜란 당시 일본 조총에 대해서 알아보자!

1592년에 일본이 내전을 끝마치고 본토의 대부분을 통일한 상태에서 조선을 침공해 임진왜란이 벌어졌다. 당시 조선군들은 파죽지세로 부산에서 계속 북쪽으로 거의 모든전투에서 패전을해 후퇴를했는데, 왜군이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한 가장큰 이유는 오랜 내전으로인한 대폭적인 전투경험이라고 볼수있지만, 조총도 큰비중을 차지했다. 1. 역사 임진왜란이 발생하기 불과 몇십여년까지만해도 분열된 일본은 조선군과 마찬가지로 창과칼 그리고 활을 주무기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16세기에 무역을 하러온 포르투갈인들로부터 화승총 몇자루를 받게되는데, 어느 일본인이 그 화승총을 분해해서 따로 설계도를 제작하여 대량생산했고, 나쁘지않은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사냥용을 임시방편으로 대량생산한거기때문에 전투에서 한계가 있었고 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