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피의 해외둘러보기/사회

세계 자살률 순위 TOP10 안에드는 나라는어디일까?

Cappie's Wiki 2014. 7. 17. 20:40
728x90

자살을 하는원인은 여러가지가있는데, 경제와 스트레스도 포함되지만, 한가지 놀라는 사실있다.

선진국가인 북유럽이나 덴마크의 자살율도 낮지않은데, 그이유는 살기너무편하고 쉬워서 삶의목표를 상실했기때문에 자살이라는 극단적인선택을 하는경우도있다.

 

그리고, 무조건 잘사는나라라고해서 자살률이 낮은게아니다.

1인당 국민소득이 형편없는 방글라데시나 부탄의경우 한국과 일본 그리고 핀란드보다 자살하는 인구비율이 훨씬낮다.

 

자, 이제 주제로 돌아가서 세계자살율이 10위내로 드는 국가들을 알아보겠다.

 

 

최근에 내전이 일어나서, 많은사람이 죽거나 다치거나 집을 잃었고, 경제적으로도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현재까지도 테러가 발생하는경우가 있고, 전쟁으로인한 피해복구도 완벽하게 되지않았다.

거기다가 1인당GDP는 동유럽보다못한 필리핀수준이다.

 

 

헝가리는 과거엔 공산진영에 속에있었고, 현재는 자본주의국가이다.

경제적으로도 나쁘지않지만, 무엇이 헝가리인들을 극단적인선택으로 이끌어가는지는 아직까지 미스테리이다.

 

 

소비에트 연방의 일원이였지만, 1991년 ~ 1992년 소련의해체로인해 우크라이나는 독립하게된다.

뭐때문인지는 몰라도, 자살률이 높다.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작은국가이다.

국민개인당 소득은 4600달러로 낮은수준이다.

이런이유로 좋지않은선택을 하는경우도있지만, 종교문제로인해서 스스로 목숨을끊는경우가 많다고하다.

 

 

소련을 주도하는 국가였지만 고르바쵸프와 옐친에의해 소연방이 붕괴되고 러시아란이름으로 다시한번 소련시절의 강대국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국가이다.

 

70년간 공산주의체제 하에서 생활한 러시아인들은 자본주의가 들어서자 빈부격차가 커지고, 이에 적응하지못해서 생활고가 발생하는경우도있지만, 점점 줄어들고있다.

 

과거 소비에트러시아에서는 학비, 음식, 병원비등 모두가 무료였고, 평균수명이 현재의 러시아연방보다 높았고, 범죄율도 적은편이였다.

 

따라서 역사적인 문제로 목숨을끊는경우가 종종있다고하고, 소연방 붕괴전 카자흐스탄인이나 우즈베키스탄인등은 같은연방공화국을 자유롭게돌아다녀도 문제없었지만, 소비에트연방 해체뒤 한순간에 외국인취급을받으며 여러 차별을 받는경우가있다.

 

 

일본은 국민전체의 소득수준이 높고, 편의점 아르바이트만해도 먹고살수있고, 노동시간도 길지않은편으로 피곤한나라가아닌 선진국이지만, 자살률은 높다.

 

과거 80년대 일본의 경제력은 미국을 뛰어넘거나 비슷한수준이였고, 일본인들은 호화로운삶을살았지만, 90년대에 접어들자 침체되기 시작했고, 결국 버블경제는 무너지고만다.

이에따라 실직이 발생하고 현재는 많이 나아졌지만, 이에따른영향은 아직까지 남아있다.

 

 

경제적으로 상황이 좋지못한 국가이지만, 심각한정도는아닌데 4위를 기록하고있다.

 

 

현재 급격하게 경제성장을 하고있는 국가이다.

도대체 무엇이 카자흐스탄인들을 자살로이끄는것일까?

 

 

동구권진영에 속해있던 국가이다.

1인당 GDP는 나쁘지않은데 사회문제가 심각한편이다.

 

 

한국의 자살률은 일본의5배수준으로 아주높은 수준이고, 계속증가하고있는 추세이다.

과도한 사교육, 공부, 왕따, 따돌림, 교육등의 문제로 학생자살률이 세계1위이며, 군인에대한 대우가 좋지않아서 군대에서 자살을시도하는사람도 많다.

 

그리고 대학을나오지못하면 사람취급도 못받기때문에 생활고에 시달려야하는건 일상이되어버린다.

노인자살률도 세계1위인데, 자식들로부터 버림받으면서 폐지나줍는 형편없는삶이 싫어서 극단적선택을 하는경우가 많다.

 

고등학생이나, 농촌에있는 중학생의경우 아침 8시 30분에 학교에가서 빨리오면 저녁9시에 오는경우가 다반사이고, 그뒤 학원이나 과외를 하기때문에 이로인한스트레스는 말로표현할수없다.

 

거기다가 세계노동시간도 1위이기때문에, 노동자지옥, 군인지옥, 노인지옥, 학생지옥인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최근 리투아니아를 뚫고 당당하게 세계랭킹1위에 도달했다.

 

 참고로 이자료들은 매년마다 바뀌며, 4위가 10위가 되거나, 9위가 5위가되는 상황이벌어진다.

하지만, 한국은 3년째 1위를 독점하고있다는사실은 변함없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