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38식 소총
38식은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주력소총이였다. 무게는 3.3kg 정도로 한국의 k2소총과 비슷하다. 반동도 준수한편이고 정확도 또한 나름 괜찮으나 대인저지력이 약하다는 단점이있다. 그리고 소총의 길이가 길어서 창검만 해주면 창과같은 용도로 사용할수있을만큼 백병전에서는 나름 쓸만했다. 그러나 기후에따라 내구도에 문제가 생기기쉽고, 탄걸림이 자주 발생하고 길이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해서 그다지 좋은무기라고 보기는 어렵다. 태평양전쟁이 끝난후 일부는 조선인민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초기무장으로 사용되었다.
2. 44식 기병총
앞서 설명한 38식 소총을 기병대가 사용할수있게 길이를 짧게한것이다. 특이하게도 총검을 접었다가 펼수있다. 총의 길이가 짧아져서 무게와 휴대성은 대폭 상승했으나, 강선의 길이가 짧아져서 명중률과 대인저지력은 감소하였다.
3. 99식 소총
99식은 38식 소총의 대인저지력이 약하다 보니까 이를보완하기위해 개발한 소총이다. 그래서 탄약의 구경을 크게하였다. 기존에있던 38식보다는 거의 모든면에서 월등한 성능을 보여줬으며 종전후에는 대한민국 국군도 일부 사용하였고, 6.25전쟁당시 많은수의 학도병들이 99식을 들고싸웠다.
4. 100식 기관단총
볼트액션 소총을 선호하는 일본군이지만 그래도 기관단총은 어느정도 필요했기에 독일의 MP18을 수입한뒤 참고해서 개발한게 바로 100식이다. 성능은 나쁘지도 좋지도 않았지만, 적어도 밀림지대가 울창한 섬에서의 전투가 많았던 일본군으로써는 아리시카 38식보다는 굉장히 쓸모있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은 사무라이 정신을 중요하게여겨서 100식을 그렇게 많이생산하지않았고, 거기에다가 미해군의 방해로 부품들이 바닷속으로 수장되어서 모습을 보기 힘들었다. 주로 공수부대와 전차병들 그리고 해병대에게 지급되었고 육군에게도 소수가 보급되었다. 무게는 4.22kg 정도로 소총치고는 무거운편이다.
5. 99식 경기관총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분대지원화기였다. 일본군의 무기치고는 좋은편이였으나,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mg34, 브렌, dp-28등과 비교해보면 뒤쳐지는 편이다. 무게는 11kg정도됬는데, 여기에다가 총검을 장착하고 사용했다고한다.
6. 3식 중기관총
1914년, 즉 1차세계대전이 발발할때쯤 첫모습을 드러내어 2차세계대전까지 쓰였다. 특이하게도 중기관총인데 30발짜리 탄창을 사용하지만 장전속도가 빨라서 괜찮다고한다.
7. 92식 중기관총
외관상 3식 중기관총과 별차이가없다. 다들 눈치채셨겠지만 3식의 개량형이라고 보면된다. 정확도가 매우높고, 높은 내구도를 자랑하지만 장탄수가 30발 밖에안된다는점과 발사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