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피의 1st 정보/생활

일찍 일어나는 방법

Cappie's Wiki 2015. 1. 28. 07:02
728x90

며칠 전까지만 해도 저는 일찍 일어나기는커녕 컴퓨터에 중독되고 새벽의 묘미를 느껴 버렸기 때문에 보통 새벽 3시 30분쯤에 취침을 하고 빠르면 오후 12시나 늦으면 오후 2시쯤에 일어나는 스타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이러다 보니까 성장기인데도 호르몬을 받지 못하고 수면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서 엄청난 시간을 낭비해버렸고 정말 하루하루가 무의미해져갔습니다.

그 후 일찍 일어나기로 스스로 결심을 했고 지금은 수면하는데 약간 문제가 있지만 늦게 일어나면 오전 8시 일정도로 부지런해지고 시간도 많아져서 살맛이 나더군요.

그래서 이 비법들을 저만 알고 있기는 아까워서 여러분과 함께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면시간을 앞당겨라


 

 

더 많이 자면 일어나는 시간도 빨라지는 건 어린아이도 쉽게 상상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한 생각입니다. 자신이 8시간을 자야 아침에 눈을 뜰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새벽 2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자는 것과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자는 것 중 당연히 후자가 일찍 일어나는 편에 속합니다.

아주 간단한 공식이고 똑같이 8시간 동안 수면을 취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간적 이득은 없지만 앞서 제가 설명할 것과 같이 병행하면 엄청난 효과를 볼 수 있으니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갑작스럽게 수면시간을 변경할 경우 잠이 오지 않아 수시간을 뒤척일 가능성이 크니 날마다 30분씩만 줄여가며 앞당기셔야 더욱 큰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오늘은 1시에 자고 내일은 12시 30분에 자고 모래는 12시에 자는 걸 말합니다.

 

 

 


 

→ 2. 반드시 오후 10시와 새벽 2시 사이에 잠자리에 들어라.


 

 

아시다시피 오후 10시와 오전 2시 사이는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시간입니다. 일반적으로 호르몬을 받지 못하는 시각인 새벽 2시 이후 잠을 자게 되면 제대로 신체가 성장하지 못해 몸이 더욱 피로해져서 수면시간이 급격히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적어도 12시 이내에는 침대로 가셔야 됩니다. 잠자는데 걸리는 시간은 사람마다 틀리겠지만 대개 10분~2시간까지 걸리는 사람도 있으니 조절을 잘하셔야 합니다.

 

 

 


 

→ 3. 알람을 맞춰라.


 


모닝콜이나 알람을 맞추고 와 안 맞추고 의 차이는 아주 큽니다. 일단 본능적으로 시끄러운 벨 소리를 끄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되도록이면 최대한 시끄러운 음악으로 설정하시고 휴대폰은 침실 안에서 자신으로부터 가장 높거나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야 됩니다.

그래야 최대한 움직이기 싫은 몸을 움직이실 테니까요.

 

 


 

→ 4. 하루 일과표를 작성하고 최대한 따르려고 노력하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7일 동안의 일과표를 작성하고 반드시 아침 시간에 식사를 포함한 아주 기본적인 활동을 여러 개 포함시키기 바랍니다.

그러면, 일어나기 싫어도 계획을 따라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 때문에 이불을 벅차고 침실을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이건 주제와 아주 밀접하게 관련이 없어서 말해주지는 않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잠을 잘 자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커튼을 설치해서 최대한 빛을 차단하고 방문을 닫아서 소음을 차단하기 등이 있습니다.

2015/01/21 - [케피의 유용정보/생활] - 잠 깊게자는법 11가지를 알아보자!

 

위에 있는 글도 읽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300x250